상단영역

UPDATED. 2024-04-27 21:25 (토)

본문영역

IBS "기후변화에 바다 식물 플랑크톤 산소 생산 증가할 것"

美 하와이대와 공동연구...지구온난화에도 플랑크톤 생산성은 5% 증가
기후변화 피해 막는 '방어막'…기존 연구 결과 뒤집어

  • 기자명 파퓰러사이언스
  • 입력 2022.12.23 08:36
글씨크기
출처=셔터스톡
출처=셔터스톡

기후변화에 오히려 바다 식물 플랑크톤(Phytoplankton)의 산소 생산성이 상승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부산대 석학교수) 연구팀이 미국 하와이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유기탄소 생산량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22일 내놨다.

이는 식물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바다 생태계의 교란을 막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바다 표면에 떠다니는 작은 조류인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는 동안 물에 녹은 영양염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유기물과 산소를 생산한다. 식물 플랑크톤이 만들어낸 유기물은 먹이사슬 상위 단계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고 산소는 인류가 들이쉬는 총 산소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지구 온난화로 표층수가 따뜻해지면 밀도가 가벼워지며 심층부와 층이 더 명확히 분리(성층화)된다. 해양이 성층화되면 심층부에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부에 덜 도달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는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를 줄인다.

이전 연구들은 표층부의 영양염 고갈이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을 감소시켜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고 기후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하지만 IBS와 미국 하와이대 공동연구팀은 북태평양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 슈퍼컴퓨터 기반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해 표층부 수온 상승에도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오히려 증가한다는 결론을 내놨다.

연구진은 선행 연구들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하와이 해양 시계열 관측(HOT)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30년간 수집된 식물 플랑크톤 자료에 따르면, 표층 영양염이 상당히 고갈된 시기에도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일정하게 유지됐다.

열악한 조건에서 식물 플랑크톤은 인(P) 대신 황(S)을 광합성에 사용하며 영양염 부족 환경에 적응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이자 HOT 프로그램 공동설립자인 데이비드 칼 미국 하와이대 교수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 전략을 바꾸는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인을 필요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종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플랑크톤 종 변화까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BS 연구팀은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에 기반한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이 향후 전 지구 해양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했다.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시뮬레이션에서는 2100년까지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전 지구적으로 8% 감소할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 전 지구 표면 온도가 약 4℃ 상승하는 2100년까지 플랑크톤 생산성은 전 지구적으로 약 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제1저자인 권은영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양염 고갈이 가장 큰 아열대 해역에서는 생산성이 기존 예측 값과 최대 200%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강화되면 바다는 대기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바다 식물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규모의 바다 생태계 변화에서 교란을 막는 완충 작용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식물 플랑크톤이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공동 저자인 악셀 팀머만 단장은 "전반적인 생산성은 유지되지만 플랑크톤 세포를 이루는 원소 함량 혹은 플랑크톤 종 변화가 일어나 해양 먹이사슬 구조가 변할 수 있다"며 "해양 생물의 미래를 더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식물 플랑크톤이 수온 상승과 해양 산성화를 포함한 여러 복합적인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IF 14.136)에 게재됐다. (논문명:Nutrient uptake plasticity in phytoplankton sustains future ocean net primary production)

저작권자 © 파퓰러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당신만 안 본 뉴스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15 (엘림넷 빌딩) 1층
  • 대표전화 : 02-6261-6148
  • 팩스 : 02-6261-6150
  • 발행·편집인 : 김형섭
  • 법인명 : (주)에이치엠지퍼블리싱
  • 제호 : 파퓰러사이언스
  • 등록번호 : 서울중 라 00673
  • 등록일 : 2000-01-06
  • 발행일 : 2017-11-13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노경
  • 대표 : 이훈, 김형섭
  • 사업자등록번호 : 201-86-19372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1-서울종로-1734
ND소프트